| 2025 – 자산화 & 로열티 준비 | 레지스트리, 신뢰로서의 스테이킹, 평판, 분배 레일 론치; API/SDK 파일럿; 50–100개 토픽 롤아웃 | 주요 지역의 지역 클럽(팟) 킥오프: 온보딩/피어 지원/로컬 캠페인 운영 | 활성 토픽 수; 로열티 분배량; 데이터/기여자 스테이킹 총액; 평균 신뢰 점수; 활성 데이터 접근 호출 수 |
| 2026 – 참여 스케일 & 비즈니스 통합 | 포트폴리오 패키징 & 분수형 데이터 자산 모듈 배포; SDK v2; 비즈니스 클라이언트/소비 API 온보딩 | 팟 네트워크 확장(20+ 지역); 팟 리드 양성; 로컬 이벤트/스프린트/해커톤 운영 | 기여자에게 흐르는 매출 비중; 생성/거래된 포트폴리오 수; 데이터 사용/요청량; 고신뢰 데이터 유지율; 질의 레이턴시/응답 시간 |
| 2027 – 분산화 & 상호운용성 | 프로토콜 v3: 모듈형·크로스체인 인프라, 운영자 분산화, 온체인 거버넌스/금고 | 팟을 로컬 DAO/서브DAO 역할로 전환; 팟 제안/감사 활성화; 연합형 팟 조정 | 거버넌스 분산도(예: 비재단 표 수, 나카모토 계수); 독립 운영자 수; 크로스체인 처리량; 거버넌스 제안 수; 프로토콜 가용성 |
| 2028 – 지식 경제 백본 | 프로토콜 v4: 자율 업그레이드, 데이터 마켓 성숙, AI‑에이전트 통합, 기관 포트폴리오 론치 | 팟의 생태계 거버넌스 완전 통합; 팟 서브거버넌스(토픽 포크, 큐레이터 선출); 글로벌 팟 협업 | 총 토픽 수; 기여자 수; 프로토콜 ARR; 기여자당 평균 로열티; AI 통합 수; 온체인 업그레이드 빈도; 체인 간 프로토콜 조합성 |